[정보처리기사 실기] Ⅴ. 기사실기 요약 / 정리 / 단답 / Tip / 알고가기!

Ⅴ. 인터페이스 구현 - 알고가기!!


  • FTP [File Transfer Protocol]
    TCP/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.
  • DB 링크 [DB Link]
    수신 시스템에서 DB링크를 생성하고 송신 시스템에서 해당 DB링크를 직접 참조하는 연결 방식.
  • 소켓 [Socket]
    서버는 통신을 위한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 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고 통신하는 방식.
  •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정의서 주요 항목 ( Tip. 아명오개 전후파반 )
    인터페이스 ID : 인터페이스 구분 식별자
    인터페이스 : 인터페이스 고유 명칭
    퍼레이션명 : 세부 동작 명칭
    오퍼레이션 요 : 세부 동작 프로세스 세부 설명
    조건 : 정상 작동하기위한 사전 조건
    조건 : 정상 작동이후 발생되는 조건
    라미터 : 인터페이스 구성항목 값
    환값 : 인터페이스 전송 후 반환되는 값
  • 서버 구분
    웹 서버, 웹어플리케이션서버, 데이터베이스서버, 파일서버.
  • 클라이언트 하드웨어 개발환경 구분
  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, 웹브라우저, 모바일앱, 모바일웹.
  • 형상관리
   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항목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한 활동.
  • 베이스라인
    개발 과정의 각 단계의 산출물을 검토, 평가, 조정, 처리 등 변화를 통제하는 시점의 기준.
  • 형상관리 도구의 종류
    Git, SVN, CVS 등..
  • 빌드 도구의 종류
    Maven, Gradle, Ant 등..
  • 공통모듈
    전체 프로그램의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실행 코드를 의미.
  • 통신적 응집도
   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활동들이 모여있는 경우.
  • 결합도의 유형은 내부, 공통, 외부, 제어, 스탬프, 자료 결합도 순으로 결합도가 낮아진다.

  • 공통 모듈 종류
    화면모듈, 서비스 컴포넌트(화면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처리), 비지니스 트랜잭션 컴포넌트 등..
  • 화이트박스 기법
    프로그램의 로직을 이해하고 내부 구조화 동작을 검사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방식.
  • EAI 구축 유형 ( Tip. 포 허 메 하 )
    인트 투 포인트 [Point-to-Point] : 1:1 단순 통합.
    브 앤 스포크 [Hub & Spoke] : 단일 접점의 허브를 통해 데이터 전송.
    시지 버스 [Message Bus] :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(버스)를 두어 연계.
    이브리드 [Hybrid] : 허브앤스포크 + 메시지버스 통합 방식.
  • 느슨현 결합 [Loosely Coupled]
    특정서비스를 변경하더라도 연결된 다른 서비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유연한 구조.
  • 어댑터 [Adaptor]
    다양한 패키지 애플리케이션 및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EAI의 핵심 장치.
  • 브로커 [Broker]
    시스템 상호간 데이터가 전송될때, 데이터 포맷과 코드를 변환하는 솔루션.
  • 메시지 큐 [Message Queue]
    비동기 메시지를 사용하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.
  • JUnit
   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용 단위 테스트 도구.
  • 백엔드
    사용자와 만나지 않고 프론트엔드와 연동하여 핵심 로직을 처리하는 영역.
  • 서버프로그램 구현 순서
    VO - Service - Controller
  • MyBatis
    객체지향 언어인 자바 관계형 DB프로그래밍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개발프레임워크.
  • iBatis
    SQL 기반 데이터 베이스와 자바, 닷넷(.NET), 루비(Ruby)등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개발 프레임워크.
  • DAO
    특정 타입의 데이터베이스에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객체.
  • 배치프로그램 유형 ( Tip. 이 온 정 )
    벤트 배치 : 지정된 조건 충족시 실행
    디맨드 배치 : 사용자의 명시적 요구 발생시 실행
    기 배치 : 정해진 시점에 정기적으로 실행
  • 크론표현식
    스케줄러를 실행시키기 위해 작업이 실행되는 시간 및 주기 등을 설정.
  • 배치
  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없이 일련의 작업들을 작업단위로 묶어 정기적으로 반복 수행하거나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괄 처리하는 방법.
  • 스프링배치
   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3대 요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처리를 제공하는 스케줄러.
  • 인터페이스 설계서
    이기종 시스템 및 컴포넌트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각 시스템의 교환되는 데이터, 업무,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된 문서.
    시스템 인터페이스 현황파악을 위한 시스템이 갖는 인터페이스 목록 및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, 각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.
  • 인터페이스 명세서
   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정보를 보여 주고, 각 인터페이스 번호 당 인터페이스가 되는 데이터, 데이터 형식,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등을 구체화 하는 문서.
  • 인터페이스 목록 중 인터페이스 ID
  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,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.
  • 인터페이스 목록 중 관련 요구사항 ID
    해당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요구사항 식별 정보
  •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내부∙외부 모듈의 기능 확인 방법 3가지.
   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한 기능 확인.
   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한 기능 확인.
    정적∙동적 모형을 통한 기능 확인.
  • 컴포넌트 명세서
    컴포넌트의 개요, 내부 클래스의 동작, 인터페이스 클래스,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것을 정의한 명세서.
  •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절차
    1. 모듈간 세부 설계서 확인
    2. 일관되고 정형화된 인터페이스 기능 정의
    3. 정의된 인터페이스 기능에 대한 정형화
  • EAI 방식 [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]
  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, 연계,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.
  • 허브 앤 스포크
    EAI 구축유형 중 하나.
    단일한 접점의 허브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.
    허브 장애 시 전체 장애 발생.
  • 포인트 투 포인트
    EAI 구축 유형 중 하나.
    가장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 방법으로 1:1 단순 통합 방법.
  • ESB 방식 [Enterprise Service Bus]
  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는 아키텍처.
    버스를 중심으로 각각 프로토콜이 호환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을 느슨한 결합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.
  • 송∙수신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
    1.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∙출력 의미 파악
    2.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∙출력 의미 파악을 통한 데이터 표준 확인
    3.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 식별
    4. 데이터 표준 최종 확인
  • 컴포넌트 [Component]
   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보급되는,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다른 부품과 조립되어 응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.
  • 제이슨 [JSON]
    비동기 브라우저/서버 통신(AJAX)을 위해 “속성-값 쌍”, “키-값 쌍”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.
  • 레스트 [REST]
   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 미디어 환경에서 자원의 존재/상태 정보를 표준화된 HTTP 메소드로 주고받는 웹 아키텍처.
  • AJAX [Asynchronous Java Script And XML]
   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 비동기 통신기술로,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XML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.
  • 스니핑 [Sniffing]
    공격 대상에게 직접 공격을 하지 않고 데이터만 몰래 들여다 보는 수동적 공격기법.
  • 시큐어 코딩 가이드 적용 대상 ( Tip. 입보시에코캡아 )
    력데이터 검증 및 표현
    안 기능
    간 및 상태
    러처리
    드오류
    슐화
    API오용
  • 직렬화 [Serialization]
    데이터 구조나 오브젝트 상태를 다른 컴퓨터 환경으로 저장하고 재구성 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.
  •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알고리즘 유형 ( Tip. 대 비 해 )
    칭키 암호화 알고리즘
   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
    시 암호화 알고리즘
  • 데이터 베이스 암호화 기법 ( Tip. 애 플 하 )
    API 방식 : 애플리케이션에서 암호 모듈(API) 적용
    Plug-In 방식 : DB레벨의 확장성 프로시저 기능을 이용
    Hybrid 방식 : API방식 + Plug-In방식 결합
  • IPSec [IP Security]
    IP계층(3계층)에서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하는 인증헤더(AH)와 기밀성을 보장하는 암오화(ESP)를 이요한 IP 보안 프로토콜.
  • SSL/TLS
    응용계층과 TCP/IP계층 사이에서 웹 데이터 암호화 및 전송시 기밀성을 보장하는 공개키 기반의 보안 프로토콜.
  • AH [Authentication Header]
    메시지 Checksum을 활용한 데이터 인증과 비연결형 무결성을 보장해 주는 프로토콜.
  • IKE [Interner Key Exchange]
    키 교환 알고리즘.
  • ESP [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]
    암호화 알고리즘을 활용한 캡슐화 기반 페이로드 기밀성을 제공하는 프로토콜.
  • 민감데이터의 익명화 처리 방안
    가명처리(가명화)
    총계처리(Aggregation)/평균값대체(Replacement)
    범주화(Data Suppression)
    데이터 값 삭제(Data Reduction)
    데이터 마스킹(Data Masking)
  •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의 종류 2가지
    1.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구현(ex. Ajax 통신…).
    2. 인터페이스 개체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구현(ex. DB 커넥션 이용 등…).
  • 시큐어 코딩 가이드 중 입력데이터 검증 및 표현에 대한 보안 약점 및 대응 방안
    보안약점 : 프로그램 입력값에 대한 검증 누락∙부적절한 검증, 잘못된 형식 지정시 보안 약점 발생.
    대응방안 : 사용자∙프로그램 입력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검증 체계를 수립하고 실패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∙구현.
  •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
   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, 그에 대응하는 비밀키는 키의 소유자만이 알 수 있도록, 공개키와 비밀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.
    ex) RSA, ECC, ECDSA
  •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
    해시값으로 원래 입력값을 찾아낼 수 없는 일방향성의 특성을 가진 알고리즘.
    ex) SHA-256/384/512, HAS-160
  •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
    암호호, 복호화 같은 키 이용.
    ex) ARIA 128/192/256, SEED
  • 데이터 베이스 암호화 기법 종류
    API 방식, Plug-In 방식, Hybrid 방식
  • API 방식
   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암호 모듈을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수정 방식.
   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암∙복호화, 정책 관리, 키관리 등 부하 발생.
  • Plug-In 방식
    DB 레벨의 확장성 프로시저 기능을 이용, DBMS에 Plug-In 모듈로 동작하는 방식.
    DB 서버에 암∙복호화, 정책관리, 키 관리 등의 부하 발생.
  • Hybrid 방식
    API방식과 Plug-In 방식을 결합하는 방식.
    DB서버와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부하 분산.
  •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의 종류 ( Tip. 엑스피 셀웨 )
    xUnit
    STAF
    FitNesse
    Selenium
    watir
  • 인터페이스 오류처리 방법 ( Tip. 화로테 )
    사용자 면에서 오류를 인지하도록 구현.
    인터페이스 오류 그 생성.
    인터페이스 관련 이블에 오류 사항 기록.
  • 인터페이스 감시도구
    인터페이스의 동작이 잘 진행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툴(APM)을 사용하여 동작 상태를 감시 할 수 있다.
    데이터베이스, 웹 애플리케이션의 트랜잭션 과 변숫값, 호출 함수, 로그 및 시스템 부하 등 종합적인 정보를 조회하고, 커넥션 풀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
  • 스카우터 [SCOUTER]
    대표적인 인터페이스 감시 도구로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및 DB Agent 를 통해 오픈 소스 DB모니터링 기능, 인터페이스 감시 기능을 제공.






  •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후 실기대비 정리 및 책없이 간단히 보기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  • 2020년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책 기반으로 정리 하였습니다.
  •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다면 hojunbbaek@gmail.com 으로 메일 주시면 바로 삭제 조치 하도록 하겠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