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정보처리기사 실기] Ⅰ. 요구사항 확인 - 개발 기술 환경

Ⅰ. 요구사항 확인 - 개발 기술 환경 정의.



1. 개발기술환경 현행시스템 분석


1) 운영체제 현행시스템 분석

  • 운영체제 : 컴퓨터와 사용자간 인터페이스 담당 프로그램.
  • 분석시 품질측면, 지원측면 등 고려.

2) 네트워크 현행시스템 분석

  • 네트워크 : 장치간 연결(링크)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.

OSI 7 계층

  • Application Layer [응용계층]
    • 사용자와 네트워크간 응용서비스 연결, 데이터 생성.
    • 프로토콜 : HTTP, FTP
    • 전송단위 : 데이터(Data)
  • Presentation Layer) [표현계층]
    • 데이터 형식 설정과 부호교환, 암/복호화.
    • 프로토콜 : JPEG, MPEG
    • 전송단위 : 데이터(Data)
  • Session Layer [세션계층]
    • 연결 접속 및 동기 제어.
    • 프로토콜 : SSH, TLS
    • 전송단위 : 데이터(Data)
  • Transport Layer [전송계층]
    • 신뢰성있는 통신보장 / 데이터 분할과 재조립, 흐름제어, 오류제어, 혼합제어 등을 담당.
    • 프로토콜 : TCP, UDP
    • 전송단위 : 세그먼트(Segment)
  • Network Layer [네틍워크계층]
    • 단말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화된 경로 제공.
    • 프로토콜 : IP, ICMP
    • 전송단위 : 패킷(Packet)
  • Data Link Layer [데이터링크계층]
    • 인접 시스템간 데이터 전송, 전송오류제어 / 동기화, 흐름제어 등의 전송기능 제공 / 오류검출, 재전송 등 기능 제공.
    • 프로토콜 : 이더넷
    • 전송단위 : 프레임(Frame)
  • Physical Layer [ 물리계층]
    • 0과 1의 비트정보를 회선에 보내기 위한 전기적 신호 변환.
    • 프로토콜 : RS-232C
    • 전송단위 : 비트(Bit)

Tip. 아파서 티내다, 피!


3) DBMS 현행 시스템 분석

  • DBMS : 데이터 집합을 만들고,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.
  • 데이터 베이스의 가용성, 성능, 기술지원, 호환성, 구축비용을 분석.

DBMS 기능

  • 중복제어 : 동일한 데이터가 여러 위치에 중복으로 저장되는 현상 방지
  • 접근통제 : 권한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접근 제어
  • 인터페이스 제공 : 사용자에게 SQL 및 CLI, GUI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제공
  • 관계표현 : 서로다른 데이터간 다양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잇는 기능 제공
  • 샤딩/파티셔닝 : 구조 최적화를 위해 작은 단위로 나누는 기능 제공
  • 무결설 제약조건 : 무결성에 관한 제약조건을 정의/검사하는 기능 제공
  • 백업 및 회복 : 데이터베이스 장애 발생시 데이터의 보존 기능 제공


4) 미들웨어의 현행시스템 분석

  • 미들웨어 : 분산컴퓨팅 환경에서 응용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간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
  • 대표적미들웨어 : Was (웹어플리케이션서버)
  • 미들웨어의 가용성, 성능, 기술지원, 구축비용 분석


2. 개발 기술 환경 요구사항 파악

1) 기술환경 정의를 위한 자료수집.

2) 조사자료 분석 및 개발 기술환경 결정. - OS, DBMS, WAS 등… 결정.

3) 요구사항 정의서, 목표시스템 구성도 반영 및 검토.



알고가기 !

  • tpmC [Transaction Processing Performance Couqcil]
    특정서버에 대해 자체기준으로 테스트를 하여 나온 결과 중 1분간 최대처리건수 수치.
  • 고가용성 [HA; High Availability]
    서버와 네트워크, 프로그램등이 시스템의 장애에 대응하여 오랜기간동안 정상운영을 가능한 성질.
  • 트랜잭션 [Transation]
   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장하기 위한 DBMS의 특성이자, 데이터 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기본 단위.
  • 총소유비용 [TCO; Total Cost of Ownership]
    기업이 시간 경과에 따라 지불해야 하는 컴퓨팅 비용을 통합적 관점에서 직접 비용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숨겨진 비용까지 포함하여 파악하는 기법.
  • TCP / IP
    인터넷 프로토콜인 IP와 전송조절 프로토콜인 TCP로 구성.
    IP는 패킷 전달여부를 보증하지 않음. 보낸순서와 받는순서가 다를 수 있음.
    TCP는 IP위에서 동작, 데이터 전달을 보증. 보낸 순서대로 받을 수 있게 함.
  • X.25
    패킷 교환망에서 회선 종단 장치와 데이터 단말장치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규정한 프로토콜.
  • IPS [Instrusion Prevention System; 침입차단시스템]
    네트워크 공격이나 침입을 실시간 차단. 유해트래픽에 대한 조치를 능동적으로 처리.
  • 라우터 [Router]
    OSI 3계층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네트워크간 비용소모가 최적화된 라우팅 경로를 설정, 설정 경로에 따라 트래픽을 전달하는 장비.
  • 유스케이스 [Usecase]
    사용자 입장에서 바라본 시스템 기능.
  • 런타임 [Runtime]
  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의 동작상태.
  • 스레드 [Threed]
    프로세스의 실행부분을 담당하는 실행의 기본단위.
  • 프로세스 [Process]
    운영체제 실행단위로,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되는 PCB를 가진 프로그램.
  • 프로토콜 [Protocal]
    이종시스템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규약.
  • 배치작업 [Batch Job]
   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작업단위로 묶어서 일괄처리하는 작업.
  • 백본망 [Backbone Network]
    각기다른 LAN이나 부분망간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망.
  • 방화벽 [Firewall]
    외부로부터 불법 침입과 내부 정보 유출방지.
    내/외부 네트워크간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.
  • GUI [Graphical User Interface]
    그래픽 화경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.
  • 가비지컬렉션 [GC; Garbage Collection]
   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로, 동적 할당 메모리영역 중 필요없게된 영역을 해제 하는 기능.

  •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후 실기대비 정리 및 책없이 간단히 보기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  • 2020년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책 기반으로 정리 하였습니다.
  •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다면 hojunbbaek@gmail.com 으로 메일 주시면 바로 삭제 조치 하도록 하겠습니다.



마지막 수정